안녕하세요.
저는 2024년 9월 7일에 시행된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와 11월 30일에 시행된 실기에 모두 독학으로 합격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합격하기까지의 공부 방법과 시험 준비 과정을 공유해 보려고 합니다.
특히, 독학으로 준비하는 분들께 효율적인 팁을 드리고자 합니다.
먼저,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준비하기 전 저의 상태를 말씀 드리자면,
- 현재 통계학과 4학년 재학 중이며, 내년 졸업 예정입니다.
- 전공 수업을 통해 통계학, 머신러닝, 딥러닝, 코딩 등 기본적인 내용은 알고 있습니다.
- 이미 취득한 자격증:
- SQLD
- ADsP
- 사회조사분석사
합격 인증입니다.
1. 필기 공부 방법
교재는
1. 2022 이기적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기본서
2. 2024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한권완성
이렇게 두 권을 사용하였습니다.
다른 자격증은 유튜브 요약강의를 먼저 보고 대략적인 내용을 파악한 후 문제를 풀었지만,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의 경우 바로 문제 풀이를 시작하였습니다.
이기적 교재는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 사용하였기에 22년도 교재를 사용하였습니다.
문제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하루 분량을 정해놓고 풀었고, 하루에 한 chapter씩 진행하였습니다.
두번째 교재에서도 개념은 읽지 않고 바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챕터별 마무리 문제와 실전 모의고사 모두 풀어주었습니다.
문제를 풀며 몰랐던 개념은 중간중간 공부하였습니다.
시험 이틀 전부터는, 두번째 교재에 수록된 기출문제를 풀고, 부족한 개념을 채워가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 Tip:
- 공식 용어를 반드시 암기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빅데이터 관련 용어가 많이 나오기 때문에 생소한 개념은 따로 정리해 두면 좋습니다.
- 시간 배분을 잘하려면 과목별로 강약점을 파악해서 효율적으로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실기 공부 방법
실기시험은 필기와 달리 Python, R과 같은 프로그래밍 실무 능력이 중요합니다.
대부분 교재나 후기를 보면 Python으로 진행하지만, 저는 과의 특성상 R을 다루는 게 더 익숙하기 때문에 R로 응시하였습니다.
책도 구매를 하였지만, 책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제일 처음에는 유튜브 '꿈꾸는 날개'이 올려주신 실기 강의를 시청하였습니다.
https://youtu.be/DZOxK-yb6QA?si=TwO0gVzC4sA4xsM4
실기는 문제 유형이 바뀐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영상을 보며 어떤 식으로 나오는지 확인 하였습니다.
꿈꾸는 날개님의 영상은 실기에서 꼭 필요한 패키지나 개념들만 들어가 있어서 감을 익히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눈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직접 타이핑 치면서 실습을 해보셔야 합니다.
이틀에 걸쳐서 모든 강의를 시청하였습니다.
다음으로는, 데이터 마님의 '데이터 전처리 100문제'를 풀었습니다.
https://www.datamanim.com/dataset/R/tutorial.html
기초 100문제 — DataManim
Question 43 df의 데이터 중 new_price값이 아래 lst에 해당하는 경우의 데이터 프레임을 구하고 그 갯수를 출력하라 lst =[1.69, 2.39, 3.39, 4.45, 9.25, 10.98, 11.75, 16.98]
www.datamanim.com
생각했던 것보다 꽤나 난이도가 있었고, 이 100문제를 다 푸신다면 1유형은 어려움이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이런 좋은 문제를 올려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ㅎㅎ
이후에는, 마찬가지로 데이터 마님 님의 '작업 1유형 연습문제'를 풀었습니다.
유튜브 인기 동영상 데이터만 풀이가 있어서, 이것만 하려했지만 이거 풀다보면 꽤나 재밌습니다.
그래서 같이 시험에 응시하는 친구와 본 사이트에 나와있는 몇 개의 데이터를 더 선정하여, 각자 풀어보고 답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조금 더 공부를 하였습니다.
다음으로는, 데이터 마님님이 올려주신 기출문제 6회와 7회를 풀었습니다. 풀이는 Python으로 올려져 있어서 답만 비교해보면서 공부하였습니다.
또 직전의 기출인 8회는 다른 분이 올려주신 걸로 풀어보고 갔습니다.
시험 전날에는, 캐글에 있는 '빅데이터분석기사 놀이터'라는 곳에 올라와 있는 작업 2유형과 3유형 문제를 풀어주었습니다.
https://www.kaggle.com/datasets/agileteam/bigdatacertificationkr
Big Data Certification KR
퇴근후딴짓 의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Python, R tutorial code) 커뮤니티
www.kaggle.com
제가 느꼈을 때는 어느 정도 통계학 개념을 알고 계시는 분이라면, 3유형은 여기 있는 문제만 풀어보고 가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여기까지가 저의 공부 과정이고, 일주일 정도 공부하였습니다.
💡 Tip:
- 시험에서의 실습 환경은 구름환경이기에, 이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시험 보기 전 체험해보고 가시면 좋습니다.
- 2유형은 본인의 과정을 준비해서 익숙해지도록 연습해가는 게 좋습니다.
- 제가 올려준 사이트들의 문제가 정말 좋기 때문에, 정말 이것만 풀어보고 가셔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4. 시험 후기
- 실기에서 1유형이 생각보다 어렵게 나와서 애먹었습니다. 하지만 데이터마님님이 올려주신 '데이터 전처리 100문제'만 다 해결할 수 있다면, 시간이 조금 걸리더라도 시험문제는 다 푸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실기는 3시간 동안 진행되었는데, 정말 시간 안 남습니다. 문제를 보고 뭔지 명확히 아셔야 잘 푸실 수 있습니다.
빅데이터분석기사를 준비하시는 모든 분들께 이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도 체계적인 계획과 꾸준한 노력으로 꼭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