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글에서 Git을 설치했으니, 이제 프로젝트에 Git을 사용할 수 있다.
Git을 설치하고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다.
이를 하기 위해 먼저, 명령프롬프트(cmd)를 연다.
이 cmd 창에 다음과 같이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자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자 이메일"
Git을 사용하게 되면 작업 도중에 Git을 통해 변경 사항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데(이를 커밋이라고 함), 이때 작업을 누가 수행했는지 추적하기 위해 설정하는 정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제대로 잘 설정되었는지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면 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다음으로 작업할 프로젝트 디렉터리를 만들어 보자.
간단하게 C 드라이브 바로 아래에 Git-Directory라는 디렉터리를 만들고, 그 안에 Project라는 디렉터리를 만들었다.
이제 Git에 대한 초기 설정을 위해 git init을 해야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아무곳에서나 git init을 하면 안 된다.
반드시 Git을 설정할 디렉터리인 Project 안에서 해야 한다.
즉 쉽게 말하자면, 경로를 Project로 설정해두고 git init을 하라는 말이다.
명령 프롬프트(cmd)를 열고 현재 위치를 먼저 파악해보자.
명령 프롬프트를 처음 실행 했을 때 나타나는 위치가 현재 위치이다.
나의 경우는 'C:\Users\user 이다.
이제 위치를 Project 디렉터리로 이동해야 한다.
cd 명령어를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여기서 cd는 현재 위치 디렉터리 보기를 의미한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cd라고 입력하고 한 칸 띄운 다음 이동하고자 하는 디렉터리의 경로 전체를 입력하면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하게 된다.
이제 원하는 경로인 Project 디렉터리로 경로를 이동했다.
여기까지 잘 했다면, 이제 Git 저장소를 생성할 준비를 끝낸 것이다.
마지막으로 cmd 창에 'git init'만 입력해주면 된다.
위와 같이 'Initialized empty ~~~'라는 메세지가 나오면서 이제 정말로 Git을 사용할 준비가 다 된 것이다.
이제부터 이 프로젝트는 Git이 모두 관찰하게 될 것이다!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Github] 커밋(Commit) 해보기 (0) | 2025.03.19 |
---|---|
[Git/Github] 깃허브 설치방법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