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통계

[의학통계] RCT의 강점과 관찰 연구의 대안: 인과관계 규명의 길

wony-wony 2024. 9. 19. 15:01

 

 

 

 

Prospective study (전향적 연구)

현시점으로부터 대상자를 추적 관찰하는 것이다.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

  • 대상자들을 실험군과 대조군에 무작위로 할당하여 개입(invervention)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 연구
  • 노출(exposure)은 잠재적 교란 요인의 균등한 분포를 생성하기 위해 무작위로 할당된다.

Prospective Cohort Study

  • RCT와는 다르게 무작위 할당을 통한 개입이 없다.
  • 특정 조건을 만족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상태가 언제 어떻게 변경되는지를 수년간 종단적으로 추적 관찰한다.

 

전향적 연구를 통해 결국 찾고자 하는 것은 노출(exposure, X)를 통해 발생되는 결과변수(outcome) 간의 단순 연관성(association)이 아닌 인과성(causality)을 확인하고자 한다.

 

 

Retrospective study (후향적 연구)

현시점에서 과거의 기록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단점 

  • 그룹 간 비교시 관찰된 다른 공변량들이 outcome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Confounding effect
  • 특정 그룹이 다수로 관측된 경우 선택편향(selection bias)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 연구자의 주관적 선택에 따라 공변량과 잠재적 결과가 바뀔 수 있다.

 

여기서, Confounding Factors (교란인자) 란?

세 번째 또는 매개 변수라고 불린다.

이를 제거하지 못한다면 연구의 내적 타당성(internal validity)의 손상을 야기한다.

측정되지 않거나, 부정확하게 측정되거나,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control하지 못하면 인과 관계를 확립할 수 없다!

 

 

여기서, Selection Bias (선택편향) 란?

연구를 적용하고자 했던 집단과 실제 자료 수집된 집단의 특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된 편향을 말한다.

e.g. 일반 인구에 대한 신약 효과를 조사하는 연구에서 특정 지역의 참가자만 모집된 경우

 

 

 


 

 

 

RCT는...

  • Outcome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공변량의 효과를 사전에 제어한다.
  • Randomization을 통해서 선택 편향을 제어한다.

-> But, 비용적 측면과 윤리적으로 비현실적인 제약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관찰연구를 통해서 RCT의 장점을 취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 공변량 효과 보정 : Modeling, Matching, Stratified method
  • 선택 편향 보정 : Matching, Stratified method

-> 대안적으로 PS를 활용한 PSM 또는 IPTW 등의 matching 기법들을 활용하면 된다.

 

 

 

 

 

이 다음부터는 다음 포스팅으로 돌아오겠다!